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CAUSW동네 프로젝트

[동네 개발기3] 우분투 18.04 LTS RAID(레이드) 설정 - 1 (실패)

앞선 포스팅에서, 동문네트워크 서버 견적기를 작성하였다.

이처럼, 서버를 직접 구성하기로 결정하고나니, 생각보다 신경쓸게 너무 많았다.

 

그 중에 가장 신경쓰였던 부분은 데이터 안정성이었다.

 

AWS의 S3 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면, 어느정도 내가 저장한 정보들에 대하여 보장이 되어있다.

하지만 직접 내가 서버를 구축하게 되면 결국 데이터 안정성에 대한 것들을 전부 내가 책임져야 한다는게 가장 큰 부담이었다.

 

그래서 난생 처음 레이드라는 것을 해보기로 결정하였다. 

 

RAID? 레이드가 뭐지?

 

RAID(레이드)에 대한 개념은 이전부터 숙지하고 있었다. 학부 OS시간에도 배웠던 내용이기도하니까. 

RAID는, 여러개의 저장공간을 이용하여 효율적(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그 방식은 0,1,10,01,3,4,5,6 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나는 RAID 1을 이용해 보기로하였다. 물론 돈의 여유가 더 넘쳐서, 더 많은 하드디스크를 구매할 수 있어서, RAID 3 혹은 4처럼 Parity 디스크까지 둘 수 있으면 좋겠지만, 8TB 2개가 현재 견적에서의 한계였으므로, 완전복제RAID 1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RAID 1은 간단하다, 2개의 하드디스크에 똑같은 데이터를 똑같이 저장하는 방식이다. 

 

1개의 하드디스크는 Data, 1개의 하드디스크는 Mirror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8TB * 2개를 이용하지만 실질적으로 8TB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다른 디스크가 고장나더라도 복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안정성이 높아진다. 

 

추가적인 RAID 시스템에 대한 정보는 링크를 참조하자.

 

https://namu.wiki/w/RAID

 

RAID - 나무위키

아래로 갈수록 성능과 안정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동작 방식에 따라 Level 0 ~ 6으로 분류한다. 주로 사용되는 것은 0, 1, 5, 6이며 컨트롤러 개발사에 따라 다른 방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Mirroring.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한다. 멤버 디스크 중 하나만 살아남으면 데이터는 보존되며 복원도 1:1 복사로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서버에서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 멤버 디스크를 늘리더라도 저장

namu.wiki

가장 먼저 앞선 포스팅에서 실시하였던 마운트를 취소하였다.

$sudo umount /mnt/sdb

 

그 후, 구글에서의 검색을 통하여 레이드를 진행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깜빡하고 있었던 것이 있었는데....

우리의 서버는 현재 sda / sdb의 2개의 하드디스크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sda에는 OS가 설치되어있다. 

 

찾아보니, mdadm을 이용한 레이드 방식은 전부, 기존의 시스템에 2개의 추가적인 디스크를 설치 후 레이드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즉, OS가 깔려있는 디스크를 레이드 하기 위해서는.... OS 설치 단계에서 레이드를 구성하여야 한다는 말.

 

생각해보면 너무 당연한 이야기인데, 왜 생각하지 못했을까... 

 

결국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이드를 포기하고, 다음 포스팅으로 넘긴다. 

 

아마 우분투를 재설치하면서 레이드를 실시해야할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