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화벽은 IP, port의 화이트리스트 기반으로 정책을 관리
- 리눅스에서는 iptables를 많이 사용. ( netfilter라는 리눅스 커널 모듈을 사용 )
- CentOS 7 이상은 firewalld, Ubuntu는 UFW
- 하지만, 여전히 iptables는 많이 사용되고 있음
- iptables을 통해 정책을 수립, 그룹으로 관리, 그룹은 역할 그룹에 또 속하게 됨
- 그림 10-6, 10-7 첨부
- 체인(그룹), 테이블(역할 그룹)
- iptables에는 필터 테이블, NAT 테이블, 맹글 테이블, 로 테이블, 시큐리티 테이블 이렇게 5가지 존재
- 리눅스의 방화벽은 필터 테이블을 이용
- 필터 테이블에는 INPUT, OUTPUT, FORWARD 체인이 존재
- 체인마다 정책이 존재하게 되고, Match 조건, 처리 방식 - Target이 존재
- 그림 10-8 필터 테이블 개념도
리눅스 방화벽 활성화/비활성화 ( IPv4 , CentOS7 기준 )
- CentOS 7 이후부터는 Iptables가 없고, firewalld가 기본 활성화
- firewalld 비활성화 후 iptables 설치 필요
- firewalld 비활성화 iptables 설치가 필요
리눅스 방화벽 정책 확인
- # iptables -L
- iptables의 설정값을 확인하는 명령은 -L (--list) 옵션을 사용합니다.
- iptables 정책 확인
'개발 > 미분류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11장 - 이중화 기술 (0) | 2022.03.09 |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9장 - 보안 (0) | 2022.03.08 |
[if kakao 2021] WebFlux로 막힘없는 프로젝트 만들기 (0) | 2021.12.09 |
[if(kakao)2021] 스마트 메시지 서비스 개발기 (0) | 2021.11.23 |
if kakao/woowacon 2021 관심 리스트 (0) | 2021.11.23 |